바로가기 작성시 '의 바로가기' 삭제하기

Tech 2010. 2. 28. 17:24
윈도우 사용시 바로가기를 만들면 '~의 바로가기' 가 원래 이름 뒤에 붙어서 바로가기가 만들어 집니다.
근데 이게 보기도 싫을 뿐더러...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자동으로 따라 붙은 글자를 바로 지우고 사용합니다.
바로가기라는 표시로 작은 화살표가 붙기도 하고요.

화살표까지 지우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이콘은 아이콘이라고 확실히 구분되는게 좋아서 화살표는 지우지 않습니다.


문제는 '~의 바로가기' 저 글자를 지우는게 상당히 귀찮은 일이라...
아예 처음부터 붙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일반 적으로 바로가기를 만들면 위와같은 모양이 됩니다.
역시나... 매번 지우고 사용하기 상당히 귀찮습니다. 보기도 안좋구요.


먼저
시작-실행 을 누릅니다. (단축키는 윈도우키 + R 입니다.)
regedit 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위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레지스트리는 시스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정확한 경로로 이동하여 정확한 값만 수정하도록 합니다.
하단의 빨간 네모에 지금 현재 위치한 경로가 나오므로 다시 한번 확인 합니다.

오른쪽의 link의 값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현재 맨 앞자리가 1E 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값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위와 같이 0 으로 수정한 후 재부팅 합니다.

재부팅 후부터 바로가기를 작성시에 '~의 바로가기' 라는 단어는 따라 붙지 않습니다...^^

테스트 결과 Windows 7 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Windows 7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클린설치 하기

Tech 2010. 2. 25. 00:05


최근 Windows 7 대학생 프로모션으로 정품 Windows 7 유저가 꽤나 늘어난 것 같습니다.
처음 사용자용이면 상관없으나 업그레이드 버전의 경우 클린설치가 라이센스 위반입니다.
혹시나.. 클린설치 관련으로 곤란해 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이러 방법도 있구나. 정도면 좋겠습니다. ^^

악용하지 마세요~


1. Windows 7 을 설치합니다.
설치중에 CD Key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DVD, USB 등등 설치가 가능한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설치 방법은 상관 없습니다.


2. 시작 버튼을 누르고 검색 상자에 regedit.exe 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3. 아래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Setup/OOBE/


4. MediaBootInstall 의 값을 0 으로 변경 합니다.


5. 시작 버튼을 누르고 검색 상자에 cmd 를 입력하여 명령프롬프트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합니다.



6. 명령프롬프트에 slmgr /rearm 를 입력합니다.


7. 재부팅 후 시디키를 입력하여 인증을 진행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경험담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Fujitsu s6410 Windows FDD 없이 Vista 에서 XP로 다운그레이드

Tech 2010. 2. 11. 18:03
사용중인 기종은 s6410 sd20vpk 이고요
다른 모델에서 사용하다 발생하신 문제같은거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_-
물론같은모델에서 따라하시다가 잘못되신것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ㅎㅎㅎ

 

사전에 밑에 설명을 보시기 전에 기본적으로 xp 정도는 설치 가능하신분만 보시기 바랍니다. xp설치에 관한 설명은 전혀 없습니다.

Windows XP 이미지 안에는 별도로 작업하기 전까지는 SATA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최신 노트북 등에서는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여태까지 알려진 방법은 Windows XP 이미지 안에 SATA드라이버를 포함시키거나 설치과정에서 F8을 눌러 드라이버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으나 드라이버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FDD(플로피 디스크)가 필요하게 되어 FDD가 기본 장착 되어 있지 않은 노트북에서는 작업이 불가능 하다.
USB FDD가 있으나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CD에 SATA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경우 초보자들은 작업하기 어렵고 별도로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방법은 별도의 장비가 아무것도 필요없이 Windows XP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다.

 

[1]. 준비물

Windows XP sp2 가 적용된 xp 시디, xp 드라이버 sata 드라이버(첨부파일)

(FDD 나 다른거 아무것도 필요 없습니다시디만 잘되는거로 준비해주세요~)


 

[2]. 설치 전 세팅 및 설치

{1}. 드라이버

설치 전에 비스타 또는 다른 pc 로 후지쯔 홈페이지에서 모든 xp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압축까지 다 풀어서 당장 쓸준비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2}. 바이오스 설정

BIOSsetup - Advanced- Intenal Device Configuration – AHCI Configuration >> Disable

 

{3}. 시디부팅하여 설치 합니다.

설치는 데스크탑에 설치 하시는 것과 100% 동일합니다.

 

{4}. 각종 드라이버를 설치 합니다.

 

{5}. Sata 설치

 가장 어려워 하시는 부분입니다. 사실 이글을 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중요한 사실 단지 xp로 다운그레이드 하실분들은 굳이 이 부분을 따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걸 안할 경우 성능이 떨어지거나 올라가거나 하는 부분은 확인한적이 없지만 xp 만 쓰실꺼라면 굳이 안해도 사용에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 어짜피 xp에서는 터보메모리를 쓸수 없기 떄문입니다.

 

    (1)  내컴퓨터 우클릭 속성 하드웨어 장치 관리자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2) 위 화면의 경우 sata 가 설치된 후 이기 때문에 현재 클릭된 부분이 SATA 로 잡혀 있지만
 
 아마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은

          Intel(R) ICH8M 3 port Serial ATA Storage Controller – 2828

               이렇게 되어 있을 겁니다.

          (3). 드라이버 업데이트

             Intel(R) ICH8M 3 port Serial ATA Storage Controller – 2828 를 우클릭 하여 드라이버 업데이트

             를 선택합니다.

             와 같은 화면에서 세번째 아니오, 지금 연결 안 함을 선택 하시고 다음을 누릅니다.


그 다음 화면에서

’ 목록 또는 특정 위치에서 설치 (고급) 을 선택하고 다음


그 다음 화면에서

검색 안 함, 설치할 드라이버를 직접 선택 을 선택합니다.

 

드라이버 목록 창에서

우측 중간 하단쯤에 디스크 있음 버튼 클릭

 

제가 올려드린 파일을 다운 받으신 후 압축을 푸시고 'iaahci.inf' 이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목록이 나옵니다

          Intel(R) 82801HEM/HBM SATA AHCI Controller 를 선택한 후에 다음 을 누르시고 마무리 합니다.

 

(4). 바이오스 설정 변경

        위에서 다음을 누르고 끝내면 재부팅 해야 한다고 나옵니다. 재부팅을 누르고 정상부팅 하면 안되고

          BIOSsetup-Advanced- Intenal Device Configuration – AHCI Configuration >> Enable

          로 바꾸고 설정을 저장 하고 xp 로 부팅합니다.

 

          

안바꾸고 부팅하면 블루 스크린이 뜨며 위의 드라이버 설치 과정을 반복 하여야 합니다.

         
          (5). 정상설치 확인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으면 위와 같이 SATA 항목으로 바뀐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ATA
를 정상적으로 설치 하여도 터보메모리는 정상적으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

         Pci 메모리 컨트롤러 로 나오는게 터보메모리 입니다 어짜피 사용 못하기 때문에

         사용안함으로 해서 위와 같이 빨간 x표가 보입니다.

 

 {6}. SATA 설치 까지 끝나면 완전히 다 끝났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xp 만 사용하실 분들은 {5}.SATA 설치  과정을 생략하셔도 됩니다.

    제가 이렇게 SATA 를 설치 하는 이유는

    ViSTA에서 터모메모리를 쓰기 위해서 입니다. 저는 비스타와 xp 를 멀티 부팅을 합니다. SATA 를 설치

    안하면 비스타 와 멀티 부팅을 할수 없냐? 이건 아닙니다 다만 xp 로 킬때 반드시 터보메모리를 꺼야 합

    니다. 안그럼 블루스크린이 나옵니다.

    매번 이짓을 하기가 싫어서 설치 하고 씁니다.. 저는 ^^

    혹시나..이해 안되시거나...틀린부분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급 수정하도록 하지요...

 

XP 설치 후 정상설치 하였을때의 전체 장치 관리자 사진입니다.

pci 메모리 컨트롤러는 터보메모리 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Windows XP를 나중에 설치한 경우 XP와 Vista의 멀티부팅 설정

Tech 2010. 2. 10. 21:40
이 글을 보셔야 하는 분들은 

xp 로 다운그레이드가 아니고 xp 를 D 로 설치 하시고
멀티 부팅을 원하시는 분들이 보셔야 합니다.

물론..단순 다운그레이드 (C 설치) 를 하신 분들이나..하실 분들은 역시 보실 필요가 없습니다.

앞에 올려드린 다운그레이드 강좌만 열심 보시면 되겠습니다. ^^

현재 이 강좌를 따라 하실 분들의 증상은 os 를 고르는 화면이 나오지 않고

그냥 키면 바로 xp 로 부팅되는 분들 대상입니다.


1. 준비물
VistaBootPRO 프로그램 (첨부파일입니다.)
(이 외에 준비물은 없습니다.~)

2. 설치
그냥 다운받아서.. 설치 해 주세요

3. 사용법
(1)실행

위와 같은 경고 창이 나옵니다. 걍 간단히.. 이것저것 바꾸기 전에 안전하게 설정 백업 하고 작업해라 이런뜻입니다.

<확인> 밖에 누를게 없으니 확인 누르면 됩니다.

(2)실행
 
상단의 큰 버튼들 중에
[System Bootloader]

클릭합니다.

아래 메뉴에서

[Windows Vista Bootloader] 와 [All Drives]
에 점을 찍습니다.

오른쪽 하단에
[Install Bootloader]

 를 누릅니다.


(3) 실행


상단 텍스트 메뉴 중
[Diagnostics]를 클릭하여 [Run Diagnostics]를 선택

큰 버튼중 [Manage OS Entries]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제가 [Windows XP] 로 이름을 바꾸어 놓았지만 이글을 보시고 계신 분들은

[Earlier Version of Windows] 라고 나오실 겁니다.(약간 멘트가 다를수는 있습니다.)

[Earlier Version of Windows] 를 선택하여

[Rename OS Entry]를 체크하여 적당한 이름으로 Rename합니다.

굳이 Rename 을 안하셔도 멀티 부팅 까지는 완성 되었습니다.

아래는 부가적인 옵션입니다.

 
(4) 부가 설정

Set as Default >>

이버튼 경우 pc를 켜서 지정된 시간안에 os 를 고르지 않았을 경우 자동으로 부팅할 os 를  어떤 os 로 할지 결정 하는 겁니다.

Rename OS Entry >>

os 고르는 화면에서 어떤이름으로 나오는지 설정 하는 겁니다.

Change Boot Drive >>

os 를 골랐을때 어떤 드라이브로 부팅시킬리 고르는 메뉴 입니다.

(가급적 만지지 마십시오)

Current boot timeout >>

이건 os를 고르는 시간을 몇 초로 할지 고르는 겁니다. 안골랏을때 얼마나 기다릴지.. 경험에 따르면.. 너무 짧은것도 좋지 않고 긴것도 좋지 않더군요 전 5초로 씁니다.


Add New OS Entry >>

부팅 메뉴에 OS 를 추가 하는건데요 부팅방식이 Vista 와 Vista 가 아닌애들은 부팅방식 달라서 Vista 의 경우는 이방법으로 추가 할 수 없습니다. 98이나..2k 등은 추가 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해보진 않았습니다.. ㅎㅎ 

설정 조정 하신 후 우측 하단에 [Apply Updates] 반드시 누르셔야 합니다.
[Apply Updates] 누르시면 오류메세지가 몇개 나올 겁니다.
메세지 개수는 설정을 변경한 개수에 따라 비례해서 증가합니다.


너무 놀라지 마시고...전 여태 사용하는데 이상 없었습니다.
정 불안하시면 가급적 설정을 조정하지 마시거나 백업 메뉴를 이용하여 백업 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백업 방법은 저도 사용해 보지 않은 관계로...생략합니다.


ps 도움이 되셨기를..

설정

트랙백

댓글